DOCKER

docker - mariaDB install

02:00AM 2023. 3. 21. 17:26

본인이 생각하기에 편한 방법대로 하면 된다.

1.DSM

우선 레지스트리에서 mariadb검색하고 최근버전으로 이미지를 다운로드 한다.

이미지 다운로드와 확인.


mariaDB 컨테이너 생성전에 먼저 할일이 있다.

docker 폴더에
mariaDB 임의의 폴더를 생성하고 하위에
conf.d 
mysql
디렉토리도 같이 생성해준다. (추후에 볼륨설정에 이 폴더를 지정해야한다.)

mariaDB 설정폴더 생성.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네트워크는 브릿지모드를 이용할것이다.

이미지 선택과 네트워크 설정.


컨테이너 이름을 간단하게 지정해주고 고급설정에 들어간다.

컨테이너 일반설정.

환경에
MARIADB_ROOT_PASSWORD
추가를 해주고 root 패스워드를 기입해준다.

MARIADB_ROOT_PASSWORD 추가.

 

컨테이너 네트워크를 host 모드를 사용했다면 3006 포트로 접근하면 되지만
브릿지 모드를 선택했으므로 접속 로컬 포트를 따로 지정해주자
필자는 47100으로 했다.(추후변경가능하다)

 

볼륨설정하는 페이지가 나온다면 
아까 docker하위에 mariaDB폴더를 생성하고
그 하위에 conf.d 와 mysql폴더를 같이 생성해준것을 기억한다면 
아래와 같이 지정해준다.

볼륨설정.
최종단계
컨테이너 작동 확인.

정상적으로 실행되는것을 확인했다.

방금 컨테이너로 생성한 mariaDB에 접속해보자.

#mysql -u root -p

패스워드는 환경추가해줄때 MARIADB_ROOT_PASSWORD에 기입해줬던 것을 입력한다.


정상적으로 로그인이 되는걸 확인했다.


그럼 프로그램으로 통한 접속을 해보자.
nas의 내부ip 를 입력하고 포트번호를 로컬포트로 접속하면 된다.
필자는 로컬포트로 47100으로 했었다.

주의 네트워크설정할때 브릿지 모드를 이용했긴 때문에 지정해준 로컬포트로 접속해야한다.

host모드로 지정했던 분이라면 3306(기본포트로)접속하면 된다.

 

DNS나 DDNS를 설정했다면 외부에서도 접속 가능하다.

끝.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compose: gitea install  (0) 2023.04.01
docker-compose: mariaDB&pma install  (0) 2023.04.01
docker - Homepage install(dashboard)  (0) 2023.03.22
docker - transmission install  (0) 2023.03.22
docker - portainer install  (0) 2023.03.21